Nard Chae’s two dimensional paintings have two formalistic characteristics. One is an icon created by the artist herself, and it is referred to as ‘a symbol of Gipbmm.’ Another is the event happening within the icon’s world. Nard Chae’s approach to joy is not just a simple positive emotion nor the drive or happiness that evokes it. Also, it doesn’t connote the achievement of a satisfactory result. The joy of her artwork evokes a sort of joy that is an ‘intensity of an affective encounter.’ 




 Her artwork pertains two keywords, ‘atmosphere and ‘affect.’ She has mentioned that she means to capture a world of harmless and joyful energy, ‘deep (perhaps not externally exposed but hidden in the depth) joy,’ in her canvas. To discuss her attitude and work through Brian Massumi’s affective theory: ‘affect’ involves the body, so even unconscious memories can be brought back to the present. Because memories involve the body from the past or the future, it is ‘present.’ The past is when the present has passed by and the future is the soon to come present. Therefore, it means the act of constantly embracing. 




 The fine resonance of forms that reveal the intense color and tendency of movement that the potential of affect is directed facing the outside of the world displays the power and potential occurred in the event between the open outside life and contemplation of presence where life meets the outside face-to-face. It is open to adventure, and adventure entails hardship. Joy in adventure cannot be gained without acknowledging the hardship creatively taken on. It sends a message that hope brings closer the essence of life and ontologistic essence in an affective point of view. Affect and hope isn’t just a direction between despaired reality and an ideal world, but something that always exists in the present. One can notice that her work evokes resonance from the complexity of relationships and encounters as well as the flexibly continued forms. There is always visual ambiguity around the circumstances in events and the entity itself inherent in the uncertainty is what gives the power. Such ambiguity and uncertainty always coexist in her work, which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move to the next dimension of affect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and creating. 


It’s impossible to not mention the atmosphere when talking about her work. Gernot Bömhme’s aesthetic debate can be applied when doing so. According to him, emotions derived from the atmosphere is not initially internal, but an external experience from the surrounding objects.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external experiences are not divided and are not an epistemological analysis of mutual subjects, but rather an ecstasy influenced by the atmosphere of the subject. Emotions are understood as a rapture in which humans escape themselves and forget their beings. Bömhme sets the Ecstasy’s subjects as objects. He connects the color and weight with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subject by escaping oneself and exposition. The perceived subject is observed in an emotionally influenced state. The traits that characterizes and distinguishes the atmosphere is defin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influence and the impression of the perceptual subject. Also, the atmosphere is presented by the interac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This means that the atmosphere is something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In other words, ‘the atmosphere’ is the connection itself. Let’s look at her work mentioning the word ‘Gipbmm’ she created considering these aspects. In the middle, a form of objects vibrated by the intense light which looks like it’s weighed down by a lump of intense color paint creates a moment of experience of trees, waves, and light pouring from the sky. 




 The atmosphere of her artwork takes place in a fixed place. The atmosphere perceived in ingression is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space. It isn’t limited to a particular object but explains atmosphere with the characters of space.  The space mentioned here is space overflowing to unknown places and space imbued with chastity. Like this, space plays such an important role in the atmosphere of Nard Chae’s artwork. People can enter, stay, and be surrounded in the space and especially in that it is an experience of the place itself, that space is a space. In that space, ‘I am present, and I can feel the sounds coming out of my mouth.’ In the artwork, the relationship-phenomenon that occurs between individuals are created through arrangements of objects. The individual objects in a space are comprehended to act as the driving factor of creating the atmosphere and as the influence of each of these increase through competition, suppression and combination, the atmosphere, which is also called an overall impression, is created. However, those affected by the atmosphere are not even aware that the atmosphere is creat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objects.



Then, let’s take a look at the individual elements - ‘icon’- in her work. The unconscious ‘resonance’ and ‘implementation’ found in the expression and inside of objects in her two dimensional painting works, and the non-material effects and non-reproducibility that arise from the internal-external relationships can be seen in the following works. "Fruiting_left" (2020) has light like a golden cloth swirling around, and delights and joys are seamlessly blooming everywhere from a fruit tree. These fruits that look like glass balls, are symbols that indicate the ‘joy of harvest.’ Next to the canvas paintings, they are separated into single objects and the two are put side by side. One is the indicator function of the fruit, and the other is the figure function. The latter has a role as a morphological similar to the human heart or glass artifact, fruit. The display strategy of her work also appears in <Mugunghwa> (2020), <Full of light and love_left> (2019), <Wings and stepping up> (2020), and <Together with 3 primary colors of light> (2021). By comparing the two different scenes, clearly differed in size or expression of the screen, we can see that the two have the aforementioned different roles.




The affect in Nard Chae’s work is also very apparent in visageite.’ The most optimal part of her character portrait is the face, especially the facial expression. In that not only the face but all objects have a certain facial expression, affect is the facial expression of all objects or ‘facialization.’ The affect Deleuze mentioned was defined as power-quality, which means the tendency of continuing movement and also staying constant. Facial expression is said to be the expression of qualitative change that occurs when minute movement flowing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stays constantly on face, which is the surface of the body. Affect is the power-quality in which it is expressed on the face. 

Affect is caused by the movement of facial features of the face muscles, but it is not the face itself. It is caused by the objects that hold the sharp edge of a sword, the irritation of a face, the radiant of a smile, the bulk of a body, the ferocity of the waves. However, it cannot be restored by the object nor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subject feeling it. Affect that cannot be restored by material and the mind, is a virtual transition occurring between objects, subjects and the inherent diversity of each. It is a trace and figure of the implementation. 



Finally, the overall theme of Nard Chae's two dimensional paintings is about the potential power of forming life and proceeding forward with an intense atmosphere. Like unpredictable waves, wind, and climate changes of the ocean, affect is a voyage of body and mind that progresses little by little through the various changes in relationships. The ocean’s deepness cannot be converted into figures but has various surfaces, waves and a variety of creatures that are hidden beneath, a hidden potential. Like the ocean, life is built and moves forward in an uncertain world. Her paintings portray that the hope behind these ambiguity and uncertainty itself is what gives power.  




나드 채의 평면 회화 작업은 두 가지의 형태적 특질이 있다. 하나는 작가가 직접 만든 아이콘과 -작가는 이것을 ‘깊쁨의 심볼’이라 지칭한다.- 그리고 그 아이콘의 세계 안에서 수행되는 사건이 그것이다. 나드 채의 기쁨에 대한 태도는 단순히 긍정적인 감정이나 그것을 불러일으키는 동인이나 행복이 아니다. 그리고 만족할만한 성과에 대한 달성을 내포하지 않는다. 그의 작업에서 나타나는 기쁨은 일종의 ‘정동적affective 마주침의 강렬함’을 불러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을 ‘분위기’와 ‘정동’에 대한 두 가지 키워드를 가지고 이야기해 볼 만한데, 그는 ‘깊은(아마도 외연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심연에 내제되어 있는)기쁨’이라고 하는 무해 하고 즐거운 에너지가 감도는 세계를 화폭에 담고자 한다며 언급한 바 있다. 그의 태도와 작업에 대하여 브라이언 마수미Brian Massumi의 정동 이론을 가지고 논해보자면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할 수 있다. 정동은 신체를 동반하기 때문에 무-의식적인 기억이라고 할지라도 현재로 불러들인다. 기억은 어느 과거와 미래든 간에 모두 신체와 교섭하기 때문에 ‘현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도 지나간 현재고, 미래도 곧 올 현재이며 그것을 끊임없이 받아들이는 그 자체를 말한다.


 정동에 대한 잠재력이 세상 밖을 향한다는 것을 강렬한 색채와 운동하려는 경향성이 드러나는 형태들이 주는 미세한 공명resonance은 열린 바깥 세계와 관조하는 존재들 사이에 생명이 외부와 직접 대면하는 사건 안에서 생기는 힘과 잠재성의 자태를 드러낸다. 모험을 향해 열려 있고, 모험은 고난을 수반 한다. 모험할 때의 기쁨은 창조적으로 떠맡는 고난을 긍정하지 않고는 얻어질 수 없다. 희망은 정동의 차원으로 볼 때 삶의 본질과 존재론적 본질에 다가가게 해준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정동-희망은 단순히 좌절된 현실과 이상 세계라는 양극 사이에 어디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현재에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작업이 관계와 마주침의 복잡성, 그리고 유연하게 이어지는 형태들이 공명을 일으키는 것을 일견 알아챌 수 있다. 사건이 벌어지는 상황 주변에는 언제나 시각화된 모호성이 존재하고, 그에 따른 불확실성에 내재된 실체 자체가 힘을 준다고 하였다. 그의 작품에는 이런 모호성과 불확실성이 항상 공존하는데 이를 통해 변화하고 생성하는 과정에서 정동적 차원의 문으로 넘어가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작업을 이야기할 때, 분위기에 대하여 빼놓을 수 없는데, 이에 대해 게르노트 뵈메Gernot Bömhme의 미학적 논의를 추적하여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그에 따르면 분위기에서 느끼는 감정은 최초에 내면적인 것이 아니며 외부에서 주변에서 사물에서 경험하는 것으로, 외부적인 경험-대상과 주체가 나눠져 있지 않고 서로 상호적인 단순히 대상의 인식론적인 분석이 아닌 그 대상에서 주는 분위기 영향을 받는 무아도취로, 인간이 자기 자신으로부터 벗어나와 자신을 잊고 빠지게 되는 황홀경으로 이해된다. 뵈메는 엑스터시의 주체를 사물로 설정하고 있다. 색이나 무게를 사물이 자기로부터 벗어나와 자기를 현시하며 지각 주체에게 미치는 영향과 연관시켜 바라본다. 지각하는 주체가 정서적으로 영향을 받는 상태에서 감지되는 것이다. 분위기를 특징짓고 구별하게 해주는 성격은 지각 주체에게 어떤 정서적 영향을 미치고 어떤 느낌을 불러일으키느냐에 따라 규정된다고 하였다. 또한, 분위기는 객체의 특성을 통해 상호작용하면서 산출된다. 이는 분위기가 주체와 객체 사이의 어떤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분위기’는 관계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을 고려하여 그가 만든 단어인 ‘깊쁨’이라는 단어를 가지고 제작한 작업을 언급해보자. 화면 가운데 강렬한 색채의 물감 덩어리 하나를 짓누르는 듯한 강렬한 빛에 의해 진동하는 사물들의 형태는 나무와 물결, 그리고 하늘에서 쏟아지는 빛에 의해 경험하는 순간을 만들고 있다.


 그의 작업에서 드러나는 분위기는 일정한 장소를 점하고 있다. 내입경험ingression에서 지각하는 분위기는 그 공간에서 받는 전체적인 인상이지, 특정 사물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분위기를 공간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공간은 어디인지 모르는 곳까지 흘러넘치는, 정조로 물든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나드 채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분위기는 이처럼 공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사람들이 그 공간에 들어설 수 있으며, 머물 수 있고, 그 공간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특히 그 공간에 처한, 즉 공간을 경험하는 것이 장소경험 그 자체라는 점에서, 그 공간은 하나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공간에서 ‘나는 여기에 있으며, 내 입으로 소리를 산출한다고 느낀다.’고 할 수 있다. 작품들에서는 개별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이-현상. 분위기는 모종의 사물 배열, 사물들의 성좌들을 통해 만들어진다. 어떤 공간 안에서 개별 사물들은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산출인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것들이 각각 미치는 영향력들이 공간 안에서 경쟁하고 서로 억제하거나 결합하면서 증대하면서 전체적인 인상이라고 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진다(산출된다). 그러나 부지불식간에 분위기의 영향을 받는 이들은 분위기가 사물들의 배열을 통해 산출된다는 것조차 의식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그의 작업에서 나타나는 개별적인 요소-‘아이콘’-에 대해 살펴보자. 그의 평면 회화 작업에서 나타나는 사물의 내부와 표현에서 나타나는 비-의식적인 ‘공명’과 ‘이행’, 그리고 사물의 내-외적 관계들로부터 발생하는 비-물질적인 효과와 비-재현적인 양태는 다음과 같은 작업에서 잘 드러난다. <Fruiting_left>(2020)은 황금 천과 같은 빛은 모든 것들을 휘감고 있고 커다란 과실수에 쾌과快果들이 여기저기 매끄럽게 열려 있다. 유리공 같은 이 과실들은 ‘추수에서 오는 기쁨’의 지표를 드러내는 기호라고 할 수 있는데, 캔버스 회화 옆에는 단일 개체로 따로 떼어 놓아서 둘을 병치 하는 방식을 삼는다. 하나는 과실의 지표적 기능, 하나는 도상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후자는 일종의 이 과실에 대한 형태적 유사성-사람의 심장, 혹은 유리 공예품, 과실-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의 작업에 대한 디스플레이적 전략은 <무궁화>(2020)와 <Full of light and love_left>(2019), <Wings and stepping ups>(2020), <Together with 3 primary colors of light> (2021)에서도 나타난다. 화면의 크기나 표현방식이 확연히 다른 두 장면의 대조를 통해서 앞서 언급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나드 채의 작업에서 드러나는 정동은 바로 ‘얼굴성’에서 잘 나타난다. 그의 묘사한 인물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 바로 얼굴-특히 표정-인데 사실 얼굴뿐만 아니라 모든 사물에는 각각 자아내고 있는 특유한 표정이 있다는 점에서 정동은 모든 존재의 표정 또는 ‘얼굴화’라고 말할 수 있다. 들뢰즈가 언급한 정동은 힘-질power-quality 라고 정의했는데, 운동하려는 경향성과 운동이 일정하게 머물러 지속하려는 경향성을 가진다고 한 것이다. 얼굴에 드러난 표정은 몸체의 내-외구에서 흐르는 미세한 운동이 그 몸체의 표면인 얼굴 위에서 일정하게 머무르며 발생하는 질적 변화의 표현이라고 하는데, 정동은 얼굴 위에서 ‘표현된 것’으로서의 힘-질이라 할 수 있다.

정동은 근육으로 된 얼굴의 이목구비의 움직임들에 의해 자아내지만, 얼굴 자체는 아니다. 칼끝의 날카로움, 얼굴의 성마른 표정, 미소의 광휘, 몸집의 우람함, 파도의 맹렬함, 이런 것들은 각각 그것들을 담고 있는 사물들로부터 발생하지만, 그 사물들로 환원할 수 없고 그것을 느끼는 주체의 주관적 지각으로도 환원할 수 없다. 물질이나 정신으로는 환원할 수 없는 정동은 사물과 주체 그리고 그 각각 내재하는 다양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가상적 이행이며, 그 이행이 자아내는 흔적이자 자태이다.



끝으로 나드 채의 평면 회화작업의 전체적인 주제는 강렬한 분위기와 함께 삶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전진해가는 잠재적인 힘을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이다. 바다 위에서 예측 불가능한 파도와 바람, 그리고 기후처럼 정동도 관계의 여러 변화를 겪으면서 조금씩 나아가는 몸과 정신의 항해와 같다. 바다의 다양한 표면과 파도와 바다 아래에는 보이지 않는 다양하고 수많은 생물과 수치로 환산이 어려울 깊이가 존재하는데, 보이지 않고 드러나지 않는 잠재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바다처럼 불확정적인 세계에서 삶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전진해간다. 그의 그림은 이렇게 모호성과 불확실성 저변의 희망 그 자체가 힘을 준다고 할 수 있다.


 

 


© 2023Nard Chae. All rights reserved.All imag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