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statement



Human beings are chucking themselves into the world between uncertainty and certainty and bear it while living their lives. ‘Hope in the present’ affects people or is affected by them to lead the life by getting away from optimism, pessimism and rationalistic thinking for the future.



Even in a situation where people were forced to be isolated due to exceptional pandemic, they rapidly established virtual space that is not limited to physical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and is perhaps given with permanence such as Metaverse to freely have relationship with others, work and play.



Such hope comes from human nature that ‘seeks meaning, amusement and eternity of existence’ from a ‘relationship’. I pay attention to the nature of this person who fulfills the present life.

People can’t live as individuals and confirm their existence by being in harmony with others while continuously mak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ng with them. Moreover, according to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eory, when human beings reach to high level of growth needs beyond deficiency needs, they live for others rather than for themselves, and furthermore, they tend to have agape-like Altruism to live for nature, universe or existence itself including human beings or other living things in the world.



In <The Diving Bell and the Butterfly>, a film about true story of Jean-Dominique Bauby, on the other hand, the main character tried to record his memories and imaginations of freely flying just like a butterfly even in a situation which he was paralyzed by the disease and could only move his left eyelid.

Even if his body is slowly disappearing in the movie, he wanted to show that his memories and thoughts will be remembered to his loved one, to the world and to someone else in the world. As such, the nature of humans for the meaning, play and eternity from these relationships became faint hope to lead the present life.



I refer to the ‘satisfaction or such state of seeking the meaning, amusement and eternity of the existence from relationship’ as ‘deep(inherent to abyss) joy’ or ‘Gipbmm’. And I want to express a world that is harmless and full of pleasant energy which ‘Gipbmm’ performs affective life as a present hope.




Invisible world is embodied and juxtaposed without limiting to media such as figurative plane painting of ambiguous boundary of figurative and abstract ones, 3D digital image, etc. rather than realistic representation in expressing it. Through juxtaposition, I intended to create and expand a new narrative by breaking boundary of dimension.

Simple writing and drawing are preceded, and captured light, flow of energy, imagination, memories, experiences, events, concepts and senses become motifs throughout the work. And painting which is conducted later create figurative or abstract object, embodied character and symbols in an organic form which quick lines and touches that are floated and organized with various colors. These are combined and organized to create a space and a situation which also composes a plane screen at the same time in some cases. Most of 3D digital works are made based on drawings and paintings.



‘A symbol of Gipbbm’ is a representative repeating figurative motif. This expresses ‘Gipbmm’ through various transformation with a container that includes the story. And there is also ‘Gipbmmer’. ‘Gipbmmer’ completes formative roles that can walk and be given with the body which performs an event and floats in the world of Gipbmm. This work is a ‘practice of joy’ to record and share thoughts on ‘satisfaction of the present hope’ that ‘leads the life’.



작 가 노 트


인간은 불확실성과 확실성 사이의 세계 속에 자신을 내던지고 삶을 살아내며 감당해 나간다. 미래에 대한 낙관론, 비관론, 합리주의적 계산을 벗어나, ‘현재 속에서의 희망’이 인간에게 정동(affect)하고 또한 정동(affect)되며 삶을 이행한다.


이례적 팬데믹으로 고립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도 오히려 인간은 메타버스 등 시공간이라는 물리적 한계에 구애받지 않고 어쩌면 영속성을 부여받은 가상공간을 급속도로 구축하여 타인과 자유롭게 관계 맺고, 일하고, 놀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 희망은 바라는바, ‘관계’로부터 ‘존재의 의미와 유희, 그리고 영원성을 찾는’ 인간의 본성에서 기인한다. 본인은 현재의 삶을 이행하는 이 인간의 본성에 주목한다.

인간은 개인으로는 살아갈 수 없으며, 지속적으로 타인과 관계하고 상호작용하며 함께 조화를 이룸으로써 스스로의 존재를 확인한다. 더욱이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을 보면 사람이 결핍욕구를 넘어 성장욕구(메타욕구)의 높은 단계에 도달 시, 자신의 삶이 아니라 타인을 위해 살아가며, 나아가 세계 인류나 다른 생명체들을 포함한 자연, 우주 혹은 그 존재 자체를 위해서 살아가고자 하는 아가페적 이타성을 띈다고 한다.


한편, 장 도미니크 보비(Jean-Dominique Bauby)의 실화를 영화화한 <잠수종과 나비(The Diving Bell And The Butterfly)>를 보면, 주인공은 질병으로 인해 온몸이 마비되어 왼쪽 눈꺼풀밖에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나비와 같이 자유로이 날갯짓하는 그의 기억과 상상력을 기록하고자 한다. 그의 몸이 서서히 소멸해 가더라도 기억과 생각은 기록되어 사랑하는 사람에게, 세상 그 누군가에게 남겨지길 원한다. 이렇듯, 극한 상황에서도 계속되는 이러한 관계로부터의 의미, 유희, 영원에 대한 인간의 본성은 실낱같은 희망이 되어 현재의 삶을 이행한다.


본인은 이러한 ‘관계로부터 존재의 의미와 유희, 그리고 영원성을 찾는 인간의 본성의 충족, 혹은 그런 상태’를 ‘깊은(심연에 내제되어 있는) 기쁨’ 즉 ‘깊쁨(Gipbmm)’이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깊쁨’이 현재의 희망으로써 정동적(affective) 삶을 이행하는 무해하고 즐거운 에너지가 감도는 세계를 화폭에 담고자 한다.


표현에 있어 사실적 재현이 아닌 비가시적 세계를 구상과 추상의 모호한 경계의 형상적 평면 회화, 3D 디지털이미지 등 매체에 국한 없이 구현하여 병치한다. 병치를 통해 차원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내러티브를 생성,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간결한 글쓰기와 드로잉을 선행하는데, 잡아낸 빛과 에너지의 흐름, 상상, 기억, 경험, 사건, 개념과 감각 등은 작업 전반의 모티브가 된다. 이후 진행하는 페인팅은 다채로운 색채로 부유하거나 조직되는 신속한 선과 터치가 율동적인 유기적 형태의 구상 혹은 추상 오브제, 구체화한 캐릭터, 그리고 상징 등을 만든다. 이것들이 조합되고 배치되어 공간을 조성하며 상황을 연출하는데 어떤 경우, 동시에 평면적 화면을 구성하기도 한다. 3D 디지털작업은 대부분 드로잉과 페인팅을 기반으로 진행한다.

 


대표적으로 반복하는 형태적 모티브로써 ‘깊쁨의 심볼’이 있다. 이는 이야기를 담는 그릇으로 다양한 변형을 통해 ‘깊쁨’을 표상한다. 그리고 캐릭터 ‘기쁘머(Gipbmmer)’가 있다. 깊쁨의 세계에서 ‘기쁘머들’은 사건을 수행하며 부유하는 신체로 어디든 유영하고 부여된 조형적 역할을 완수한다.

이 작업은 ‘삶을 이행’시키는 ‘현재 희망의 충족’에 대한 사유를 기록하고 공유하기 위한 ‘기쁨의 실천’이다.



© 2023 Nard Chae. All rights reserved.All imag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